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중소기업이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을 유지하면 정부가 지원금을 지급하는 제도예요.
2025년에는 제도가 확대되어 기업뿐만 아니라 청년도 직접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유형이 추가됐어요.
기업은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이어야 하고, 청년은 만 15세~34세 사이의 취업 청년이어야 해요.
혜택부터 신청 방법, 조건, 신청 기간, 유형1,2 차이까지 하나씩 알려드릴게요.

☑️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혜택
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기업과 청년 모두에게 혜택을 제공해요.
- 기업 유형1:
- 채용 후 첫 1년간 매월 최대 60만 원, 총 720만 원 지원받을 수 있어요.
- 청년이 2년 근속하면 480만 원 장기고용인센티브까지, 최대 1,200만 원이죠.
- 청년 유형2:
- 제조업, 보건복지업 같은 빈 일자리 업종에서 18개월 이상 근속하면 최대 480만 원 지원.
- 제조업, 보건복지업 같은 빈 일자리 업종에서 18개월 이상 근속하면 최대 480만 원 지원.
- 지원 업종 확대: 2025년부터 제조업, 뿌리산업, 보건복지업, 해운업, 수산업 등 10개 업종도 지원 대상에 포함됐어요.
고용24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에서도 확인 가능해요.
☑️ 신청 조건
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을 받으려면 기업과 청년 모두 조건을 맞춰야 해요.
- 기업 조건:
-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이어야 해요(고용보험 피보험자 수 기준).
-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해서 6개월 이상 고용 유지해야 하고, 주 30시간 이상 근로, 최저임금 이상 지급, 고용보험 가입도 필수예요.
- 청년 조건:
- 나이는 만 15세~34세 사이면 지원 가능해요. 군필자는 복무 기간만큼 나이 제한이 늘어나니까 최대 만 39세까지 가능하다는 거예요!
- 고용보험 미가입 미취업자여야 하고, 고졸 이하나 1년 이상 고용보험 미가입 같은 취업 애로 청년이 대상이에요.
- 2유형 추가 조건: 빈 일자리 업종에서 18개월 이상 근속해야 해요.
취업 준비하면서 조건 맞추는 게 쉽지 않죠. 제 친구는 고졸 학력에 1년 넘게 미취업 상태였다가 2024년도에 조건에 딱 맞아서 지원받았어요. 뭐 지금은 바뀌였지만요.
☑️ 신청 방법
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기업과 청년이 각각 신청해야 해요.
- 기업 신청(1유형):
- 고용24에서 사업장 소재지 관할 운영기관을 선택하고 신청하면 돼요.
- 준비해야 할 서류는 사업 참여 신청서, 사업자등록증, 사업주 확인서, 고용보험 가입 내역, 개인정보 동의서 등이 있어요.
- 청년 신청(2유형):
- 18개월 근속한 다음 달부터 고용24에서 신청 가능해요.
- 근속 증명 서류와 개인정보 동의서가 필요해요.
- 문의처: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(☎1350).
온라인 신청이 워낙 간편해서 금방 끝낼 수 있어요. 서류만 잘 준비하면 어렵지 않아요.
☑️ 신청 기간
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 기간은 아래와 같아요.
- 기업 신청(1유형): 2025년 1월 23일부터 상시 접수인데, 예산이 소진되면 마감되니까 서두르는 게 좋아요.
- 청년 신청(2유형): 18개월 근속한 다음 달부터 신청 가능해요. 2025년 안에 근속 조건을 충족하면 바로 신청할 수 있어요.
예산이 한정되어 있으니 미리 준비해서 신청하는 걸 추천해요.
☑️ 지원금
지급 일정
지원금이 언제 들어오는지도 중요한 정보죠.
- 1유형(기업 지원): 매달 25일에 지급돼요. 첫 지급은 신청 후 심사 완료되면 다음 달 25일에 들어와요.
- 2유형(청년 지원): 18개월 근속한 다음 달 25일에 일시 지급돼요.
지원금 지급 일정 한눈에 보기
유형 | 지급 일정 |
---|---|
1유형 | 매달 25일 (첫 지급: 심사 후 다음 달 25일) |
2유형 | 18개월 근속 후 다음 달 25일 일시 지급 |
☑️ 유형(1, 2)
어떤 차이가 있나요?
2025년부터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요.

- 1유형(기업 지원): 중소기업이 청년을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 유지하면 지원받아요.
- 지원금: 첫 1년간 월 60만 원, 총 720만 원 + 2년 근속 시 480만 원.
- 지원금: 첫 1년간 월 60만 원, 총 720만 원 + 2년 근속 시 480만 원.
- 2유형(청년 지원): 빈 일자리 업종에서 18개월 이상 근속한 청년에게 직접 지원해요.
- 지원금: 최대 480만 원, 일시 지급이에요.
유형별 지원 한눈에 보기
유형 | 대상 | 지원 조건 | 지원금 |
---|---|---|---|
1유형 | 기업 |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| 최대 1,200만 원 |
2유형 | 청년 | 18개월 이상 근속 | 최대 480만 원 |
유형2가 새로 생겨서 청년도 직접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는 점이 정말 좋더라구요.
☑️ 권고사직,
주의해야 할 점은?
권고사직은 기업과 청년 모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.
- 지원 중단: 권고사직이 되면 해당 청년에 대한 지원금 지급이 중단돼요.
- 재신청 제한: 권고사직 후 6개월 동안 다른 청년 채용으로 지원 신청이 안 돼요.
- 부정 수급 주의: 지원금을 부정 수급하면 전액 환수되고 제재 부가금까지 부과될 수 있어요.
다만, 회사에서 권고사직 되면 지원금이 중단되기 때문에 이 점 유의해야 합니다..
Q&A
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에 대해 예상되는 질문과 답변을 정리해봤어요.
- Q. 5인 미만 기업은 지원받을 수 없나요?
A. 예외적으로 5인 미만 기업도 입증 서류, 예를 들어 고용보험 가입 내역을 제출하면 지원 가능해요. - Q. 권고사직 후 바로 다른 청년을 채용해도 되나요?
A. 아니요, 권고사직 후 6개월간 재신청이 불가해요. - Q. 빈 일자리 업종이 아닌 경우 2유형 지원은 못 받나요?
A. 네, 2유형은 빈 일자리 업종에서 근속한 청년만 지원 가능해요. - Q. 지원금은 언제 지급되나요?
A. 1유형은 매달 25일 지급, 2유형은 18개월 근속 후 다음 달 25일 일시 지급 된답니다.
궁금한 점이 더 있으면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(☎1350)에 상담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.

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청년 취업과 기업 성장을 동시에 돕는 제도예요. 기업은 최대 1,200만 원, 청년은 최대 480만 원 지원을 수 있습니다.
저의 경우에는 아직 해당은 안되지만 기억해두었다가 나중에 해당된다면 유형2로 신청해보려고 합니다.
다만 18개월 근속이 조건이라 회사 다니며 기간을 유의해야할 것 같네요..
회사를 다니다보면 사실 어느순간 시간이 훅 가있어 제도가 없어지지 않는 이상 기억해둬야겠네요.
ect. 함께보면 좋은 글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