케이뱅크 ONE 체크카드는 거울 디자인이 가장 인기인데,
K패스 교통비 최대 53% 할인, 통신요금 5% 캐시백 뿐만 아니라 편의점, 카페, 배달, OTT, 영화 7%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.
특히 월 대중교통 이용 금액이 5만 원 이상일 경우, 매월 3,000원의 추가 캐시백이 제공되는데 지하철과 버스를 자주 이용하는 직장인으로는 최고의 혜택이 아닐까 싶다.
대중교통, 배달, 커피 등 다양한 혜택과 K-패스 기능, 세련된 디자인, 발급 방법, 캐시백 조건까지 적어본다.

☑️ 케이뱅크 ONE 체크카드 혜택 & 캐시백
케이뱅크 ONE 체크카드는 매달 3가지 캐시백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.
옵션 | 혜택 내용 | 조건 및 한도 |
---|---|---|
여기서 더 캐시백 | 편의점, 카페, 배달, OTT, 영화 7% 캐시백, 통신 3사 요금 5% 캐시백 | 1만 원 이상 결제 영역별 1일 1,000원, 월 25,000원 한도 |
모두 다 캐시백 | 오프라인 0.7%, 온라인 1.2% 캐시백 | 결제처/횟수 제한 없음 |
369 캐시백 | 3번 결제 시마다 1,000원 캐시백 | 7,000원 이상 결제, 월 단위 스탬프 초기화 |



✔ “여기서 더 캐시백” 옵션
- 대상 가맹점
- 편의점: CU, GS25, 세븐일레븐, 이마트24 등
- 카페: 스타벅스, 이디야, 투썸플레이스, 할리스 등
- 배달: 배달의민족, 요기요, 쿠팡이츠
- OTT: 넷플릭스, 유튜브 프리미엄, 디즈니플러스, 티빙 등
- 영화: CGV, 롯데시네마, 메가박스
- 통신: SKT, KT, LG U+ 요금
- 혜택 조건
- 1만 원 이상 결제 시 7% 캐시백 (통신 요금은 5%)
- 영역별 1일 1,000원, 월 25,000원 한도
- 예: 스타벅스에서 1만 원 결제 시 700원 캐시백
더 자세한 내용은 케이뱅크 “여기서 더 캐시백” 혜택 페이지에서 확인

추가 선택 혜택은 필수
- 대중교통 & 편의점 할인
대중교통(버스, 지하철) 건당 200원 할인
편의점(CU, GS25 등) 건당 200원 할인
월 10회 한도 (합산) - 스트리밍 & 배달 할인
넷플릭스, 유튜브 프리미엄 등 10% 할인 (최대 3,000원)
배달의민족, 요기요 건당 1,000원 할인
월 3회 한도 (배달 기준) - 커피 & 영화 할인
스타벅스, 이디야 등 건당 500원 할인
CGV, 롯데시네마 예매 시 2,000원 할인월 2회 한도 (합산)
✔ “모두 다 캐시백” 옵션
- 오프라인 0.7%, 온라인 1.2% 캐시백.
- 예: 오프라인 10만 원 결제 → 700원, 온라인 10만 원 결제 → 1,200원 캐시백.
결제처나 횟수 제한 없이 자유롭게 사용 가능!
✔ “369 캐시백” 옵션
- 7,000원 이상 결제 시 스탬프 1개 적립.
- 스탬프 3개 모이면 1,000원 캐시백.
- 월 단위 초기화, 한 달에 9번 결제하면 3,000원 캐시백 가능!
☑️ K패스, 대중교통
최대 53% 할인
케이뱅크 ONE 체크카드는 대중교통 이용에 최적화된 혜택을 제공한다.

- 대중교통 할인
“대중교통 & 편의점 할인” 옵션 선택 시 건당 200원 할인 (월 10회 한도) - K-패스 혜택
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소 20%~53% 환급 (최대 60회)
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, 대중교통비 5만 원 이상 시 추가 3,000원 캐시백 - 후불교통기능
실물 카드 또는 삼성페이 등록으로 선불 충전 없이 사용 가능
☑️ 유니크한 거울 에디션 디자인
디자인도 매력적인데, 3가지 디자인 중 선택이 가능함!
기존 케이뱅크 체크카드와 비교해봤다! 케이뱅크 one 체크카드 거울은 실물이 훨씬 이쁘다.

- 거울 에디션: 카드가 손거울 역할, 외출 시 간단한 메이크업 체크에 유용!
- 케이뱅크 one 체크카드 매트블랙도 세련되게 이쁘다.
- 유니크하고 거울 기능을 넣어서 세련되 보이기까지 하다.
☑️ 가장 손쉬운 발급 방법!



- 케이뱅크 앱 실행 후 로그인
- 하단 “전체” 메뉴에서 “카드 만들기” 클릭
- 원하는 디자인(거울, 매트 블랙, 갤럭시) 선택 후 정보 입력
- 발급 대상: 17세 이상 케이뱅크 계좌 보유 고객
- 발급 수수료: 3,000원 (현재 면제)
- 연회비: 없음
발급방법은 케이뱅크 ONE 체크카드 홈페이지 바로가기
☑️ 장, 단점은?
장점
- 전월 실적 조건 없이 캐시백을 제공함
- 매달 혜택 변경 가능
- K-패스 기능으로 대중교통 환급 가능
- 세련된 디자인 (거울 에디션 활용 가능)
단점
- 캐시백 한도 제한적 (월 25,000원 등)
- 최소 결제 금액 상향으로 소액 결제 혜택 감소
- 특정 가맹점에서만 높은 캐시백 제공
💡 나에게 정말 유리할까?
- 대중교통 자주 이용 시: “대중교통 & 편의점 할인” 선택, K-패스 연동으로 환급(요게 최고)
- 배달과 OTT 자주 이용 시: “스트리밍 & 배달 할인”으로 구독료 할인 챙기기
- 커피와 영화 즐길 때: “커피 & 영화 할인”으로 스타벅스와 CGV 할인받기
- 스탬프 모으기: “369 캐시백”으로 한 달 9번 결제, 3,000원 캐시백
내가 평소에 실제로 매일 갖고 다니는 카드이기도 하지만, 무엇보다 실제로 대중교통 금액이 만만치 않은데
할인되는게 체감으로 느껴져서 꼭 추천하는 카드다.
특히 쌓인 마일리지는 현금으로도 환급 가능하여 요긴하게 쓰고 있는데 꼭 추천한다.
ect. 함께보면 좋은 글..
👀SK주유소, GS칼텍스에서주유비 3만 5천원이나할인해주는카드?